“월세 80만 원 내며 출퇴근하느니… 차라리 청약이 낫겠다 싶었죠.”
서울에서 살아간다는 건 늘 ‘비용의 게임’이었다.
회사는 도곡역에서 2분 거리인데, 나는 여전히 1시간 거리에서 출퇴근 중이었다.
그러다 우연히 보게 된 [2025년 1차 서울시 청년안심주택(공공임대)] 공고.
‘강남 도심 월세 18만 원’이라는 말에 처음엔 의심부터 들었지만,
정책을 뜯어보니 나 같은 사람을 위한 제도였다.
📌 목차
1. 🧑 신청자 조건 요약
2. 🏢 단지 정보: 도곡 더써밋타워
3. 📋 청년안심주택 신청 전략
4. 💰 임대조건 상세 분석
5. 📎 계약 및 입주 절차
6. ✅ 신청 준비물 정리
7.💬 마무리하며
1. 🧑 신청자 조건 요약
· 연령: 만 28세
· 혼인 여부: 미혼
· 거주지: 서울시 관악구
· 무주택 여부: 무주택
· 월 소득: 약 230만 원
· 총 자산: 약 3,000만 원 (금융 포함)
· 자동차: 없음
· 청약통장: 불필요 (비분양 임대)
✔️ 위 조건은 청년계층 2순위 (중위소득 70% 이하)에 해당
✔️ 2025년 1차 서울시 청년안심주택(공공임대) 신청 자격 충족
2. 🏢 단지 정보: 도곡 더써밋타워
📍 위치: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954-17
🏢 공급규모: 총 61실
· 18A형: 51실 (보급형)
· 18B형: 10실 (옵션형)
🛏️ 전용면적: 약 18.3㎡ (원룸 구조)
🚇 교통: 도곡역 도보 4분, 매봉역 도보 7분
📅 입주 예정: 2025년 10월 13일 ~ 11월 12일 사이
📎 청약접수 일정: 2025년 4월 21일~23일
3. 📋 청년안심주택 신청 전략
💡 신청유형
· 청년 1인 가구 (19세 이상~39세 이하, 미혼)
· 무주택자 / 자동차 미보유 / 자산 기준 충족자
🥇 순위 기준
· 1순위: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· 2순위: 중위소득 70% 이하 (본 케이스 해당)
🧠 가점 요소
· 서울시 거주 기간
· 직장과의 거리
· 무차량 여부
· 청년안심주택 기존 미입주자 여부 등
✔️ 가점 → 우선순위 → 무작위추첨 방식으로 선정
4. 💰 임대조건 상세 분석
항목 | 내용 |
임대형태 | A형 (시세 30%) |
보증금 | 4,215만 원 |
월임대료 | 186,000원 |
계약금 | 8,430,000원 (보증금의 20%) |
잔금 | 33,720,000원 (입주 전 납부) |
· 월세 18만 원대는 강남에선 사실상 전무
· 2025년 1차 서울시 청년안심주택(공공임대) 기준
→ 보증금 50%까지 월세로 전환도 가능 (이율 2.5%)
💡 단, 보증금 전액 마련이 어렵다면 일반은행의 보증금 대출 활용 가능
5. 📎 계약 및 입주 절차
🖥️ 계약방식: 전자계약 (공동인증서 필수)
📆 계약일정: 2025.09.15(월) ~ 2025.09.17(수)
🧾 입주 가능일: 2025.10.13(월)부터, 계약 후 30일 이내
🔁 임대기간: 2년 + 재계약 4회 (최대 10년 거주 가능)
📌 주의: 계약금만 납부하고 전자계약 미체결 시 자동 해지 → 계약금 환불되나 재청약 제한
6. ✅ 신청 준비물 정리
· 주민등록등본 (주소변동, 세대주 포함 내역 전체)
· 가족관계증명서
· 소득금액증명원 or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
· 예금잔액 증명서 / 부채 내역 포함
· 자동차 등록원부 (없음 확인용)
· 온라인 청약신청 출력본
· 금융정보제공 동의서 (신청자 + 부모 서명)
⚠️ 공고일(2025.04.09.) 기준으로 모든 자격 판단
⚠️ 허위·누락 정보 제출 시 당첨 취소 및 향후 신청 제한 가능
7. 💬 마무리하며
도곡 더써밋타워는 그 이름만으로도 청년들에겐 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다.
하지만 [2025년 1차 서울시 청년안심주택(공공임대)]이라는 정책 프레임 아래에서,
이 단지는 분명히 “우리도 가능하다”는 가능성의 증거다.
📍 1인 청년 가구에게도 서울 한복판에서 시작할 수 있는 기회
📍 임대료 부담 없이 10년간 안정적인 거주 가능
📍 소득과 자산만 정확히 맞춘다면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문